몇 년전에 그렸던 만화...
제일 처음 알았던 윈도API였죠
지금 보니 무척 썰렁하군요... ^^;
성능과 이식성을 위헤 설계된 표준기술 기반의 레이아웃(layout) 엔진입니다. 단순히 HTML을 위한 레이아웃 엔진이 아닌 대화상자, 위젯과 같이 브라우저를 구성하는 기본 GUI까지 표시할 수 있습니다. 현재 다음과 같은 표준기술을 지원합니다.
* HTML 4.0
* XML 1.0
* XHTML 1.1
* MathML
* XForms (via an official extension)
* SVG (Partial SVG 1.1 support*)
* CSS Level 1 (partial support for CSS 2 and 3, see Mozilla CSS support chart for details)
* DOM Level 1 and 2 (partial support for DOM 3)
* RDF
* JavaScript 1.7
XPCOM은 크로스 플랫폼 컴포넌트 모델입니다. 코바(CORBA)나 마이크로소프트 COM가 유사하다고 보면 됩니다. XPCOM은 다중언어바인딩과 IDL을 제공하여 개발자로 하여금 자신이 만든 기능을 프레임워크에 껴 넣고 다른 컴포넌트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. 이 기술은 Gecko의 모든 기능을 가상적으로 컴포넌트화하여 브라우저나 다른 모질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. 다양한 모질라 XPCOM 라이브러리(네트워킹, 보안, DOM, 등)에 접근하려면 XPConnect라는 XPCOM의 레이어를 사용하면 됩니다. XPConnect를 이용하면 자바스크립트로 XPCOM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XPCOM 컴포넌트는 C,C++, Java Script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.
모질라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언어입니다. XML로 작성되었으며 대화상자, 위젯, 템플릿 등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 CSS, 자바스크립트, DTD, RDF와 같이 이미 존재하는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웹개발이나 디자인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Necko는 네트웍 프로토콜과 파일 시스템 접근을 다루기 위한 추상 레이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. 이 역시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. 개발자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네이티브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지 않고 Necko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해서 네트웍이나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시용자는 XBL을 이용하여 XUL 위젯의 모습과 동작을 새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.
XPInstall는 XPI라고 알려진 설치 아카이브 형식으로 확장기능과 테마와 같은 작은 패키지를 모질라에 설치하기 위한 기술입니다.
모질라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는 XML-RPC, SOAP, WSDL와 같은 여러 다양한 웹서비스 표준을 기본 지원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유사한 XMLHttpRequest 개체도 지원하고 있습니다. 이들 표준기술 지원을 통해 서버와의 XML 데이터 연동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그 밖에 DTD, RDF, XSLT/XPath, MathML, SVG, JavaScript, SQL, LDAP 등과 같은 표준 기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해커와 화가 폴 그레이엄 지음, 임백준 옮김/한빛미디어 |